AWS 웹 서버 무료 구축 가이드- 7가지 단계별 튜토리얼과 주의사항
AWS 웹 서버 무료 구축 가이드: 7단계 튜토리얼과 주의사항
안녕하세요! 개발 실력을 한층 더 업그레이드하고 싶은 여러분들을 위해 오늘은 AWS 웹 서버 무료 구축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마치 레고 블록을 조립하듯이, AWS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들을 활용하면 누구나 손쉽게 나만의 웹 서버를 가질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특히 AWS는 신규 사용자들에게 1년 동안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넉넉한 프리 티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더욱 매력적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AWS 프리 티어를 활용하여 웹 서버를 구축하는 방법을 7단계로 자세히 살펴보고, 주의해야 할 점들까지 꼼꼼하게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준비되셨나요? 그럼 지금 바로 시작해 보겠습니다!
1단계: AWS 계정 생성 및 로그인
AWS 웹 서버 구축 여정의 첫 번째 관문은 바로 AWS 계정 생성입니다. AWS 공식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계정 만들기" 버튼을 클릭하면 이메일 주소, 비밀번호와 같은 기본 정보 입력 페이지가 나타납니다. 모든 정보를 입력하고 결제 정보까지 등록하면 드디어 AWS의 세계로 첫 발을 내딛게 됩니다. 이때, 무료 티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신용카드 정보를 등록해야 한다는 점을 잊지 마세요!
2단계: EC2 인스턴스 생성
AWS 계정 생성을 완료했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웹 서버를 구축할 차례입니다. 먼저 AWS의 핵심 서비스 중 하나인 EC2(Elastic Compute Cloud) 인스턴스를 생성해야 합니다. EC2는 사용자가 원하는 운영 체제를 가상 서버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입니다. AWS 콘솔에서 EC2 서비스를 선택한 후 "인스턴스 시작" 버튼을 클릭하면 운영 체제, 인스턴스 유형, 스토리지 용량 등을 선택할 수 있는 페이지가 나타납니다.
무료 티어를 사용하려면 "무료 티어 사용 가능"이라고 표시된 운영 체제와 인스턴스 유형을 선택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Amazon Linux 운영 체제와 t2.micro 인스턴스 유형이 무료 티어에 포함됩니다. 스토리지 용량은 기본적으로 8GB로 설정되어 있으며, 웹 서버 운영에는 충분한 용량입니다.
3단계: 보안 그룹 설정
EC2 인스턴스 생성을 완료했다면 다음 단계는 보안 그룹 설정입니다. 보안 그룹은 EC2 인스턴스에 대한 방화벽 역할을 수행하며, HTTP, HTTPS와 같은 특정 포트를 열어 외부 접속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보안 그룹 설정 페이지에서 "새 보안 그룹 생성" 버튼을 클릭하고, 웹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HTTP(80 포트)와 HTTPS(443 포트)를 허용하는 규칙을 추가해야 합니다. 이때, 출발지 IP 주소를 특정 IP 주소로 제한하거나 모든 IP 주소에 대해 허용할 수 있습니다. 보안을 위해 특정 IP 주소만 접속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지만, 테스트를 위해 모든 IP 주소에 대해 허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4단계: SSH를 이용한 인스턴스 연결
보안 그룹 설정까지 마쳤다면 이제 생성한 EC2 인스턴스에 접속하여 웹 서버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설정해야 합니다. EC2 인스턴스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SSH(Secure Shell) 프로토콜을 사용합니다.
SSH는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에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입니다. 윈도우 운영 체제를 사용하는 경우 PuTTY와 같은 SSH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EC2 인스턴스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반면, macOS 또는 Linux 운영 체제를 사용하는 경우 터미널 애플리케이션에서 SSH 명령어를 사용하여 EC2 인스턴스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5단계: 웹 서버 소프트웨어 설치 및 설정
EC2 인스턴스에 성공적으로 접속했다면 이제 웹 서버 소프트웨어를 설치해야 합니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웹 서버 소프트웨어는 Apache HTTP Server와 Nginx가 있습니다.
Apache HTTP Server는 오랜 역사와 안정성을 자랑하는 웹 서버 소프트웨어로,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웹 서버 소프트웨어 중 하나입니다. Nginx는 가볍고 빠른 성능을 자랑하는 웹 서버 소프트웨어로, 최근 들어 사용량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원하는 웹 서버 소프트웨어를 선택하여 설치한 후에는 웹 서버 설정 파일을 수정하여 웹 서버의 동작 방식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웹 서버가 수신 대기할 포트 번호, 가상 호스트 설정, SSL/TLS 인증서 설정 등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6단계: 도메인 연결 및 DNS 설정
웹 서버 소프트웨어 설치 및 설정까지 완료되었다면 이제 도메인을 연결하고 DNS 설정을 해야 합니다. 도메인은 웹 사이트 주소를 나타내는 문자열이며, DNS(Domain Name System)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시스템입니다.
Route 53과 같은 DNS 서비스를 사용하여 도메인을 EC2 인스턴스의 공인 IP 주소로 연결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DNS 서비스에 도메인을 등록하고, A 레코드를 생성하여 도메인 이름을 EC2 인스턴스의 공인 IP 주소로 매핑해야 합니다.
7단계: 웹 사이트 업로드 및 테스트
모든 설정이 완료되었다면 이제 웹 사이트 파일을 업로드하고 테스트를 진행할 차례입니다. 웹 사이트 파일은 FTP(File Transfer Protocol)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나 SCP(Secure Copy Protocol)를 사용하여 EC2 인스턴스에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웹 사이트 파일 업로드를 완료한 후에는 웹 브라우저에서 도메인 주소를 입력하여 웹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웹 사이트가 정상적으로 표시되는지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웹 서버 설정을 조정하여 웹 사이트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AWS 웹 서버 구축 시 주의사항
AWS 웹 서버를 무료로 구축할 수 있다는 것은 매우 매력적이지만, 몇 가지 주의해야 할 점들이 있습니다.
첫째, 무료 티어는 사용량에 제한이 있습니다. EC2 인스턴스를 한 달에 750시간까지만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스토리지 용량, 데이터 전송량 등에도 제한이 있습니다. 따라서, 실제 서비스를 운영하기 전에 예상되는 트래픽과 리소스 사용량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둘째, 보안에 유의해야 합니다. EC2 인스턴스는 인터넷에 공개되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강력한 비밀번호를 사용하고, 정기적으로 운영 체제 및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등 보안에 만전을 기해야 합니다.
AWS 웹 서버 구축은 처음에는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단계별로 차근차근 따라 하면 누구나 쉽게 구축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이 AWS 웹 서버 구축을 시작하는 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 여러분의 성공적인 웹 서비스 운영을 응원합니다!